당지수 (GI)표를 이용해 다이어트와 당뇨병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봅시다.
아주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우리가 저녁으로 카레밥을 먹고 디저트로 파인애플을 먹는다고 해보죠.
GI가 쌀밥은 84, 카레는 49, 파인애플은 65입니다. 이 중에서 쌀밥의 GI가 높아 다이어트와 당뇨에 좋지 않습니다. 이 때 쌀밥 대신 현미밥을 이용하면 현미밥은 GI가 56 이므로 High GI (고당지수) 식품을 피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별로 당지수를 파악하여 고당지수 음식을 저당지수 음식으로 대체하면 되는 것입니다.
여러가지 음식을 섭취할 때 무조건 고GI를 피할 필요는 없습니다. 저GI 음식 한 두개만 포함시키면 됩니다.당지수 (GI)표를 이용해 다이어트와 당뇨병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자.
아주 간단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우리가 저녁으로 카레밥을 먹고 디저트로 파인애플을 먹는다고 해보죠.
GI가 쌀밥은 84, 카레는 49, 파인애플은 65이다. 이 중에서 쌀밥의 GI가 높아 다이어트와 당뇨에 좋지 않는다. 이 때 쌀밥 대신 현미밥을 이용하면 현미밥은 GI가 56 이므로 High GI (고당지수) 식품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별로 당지수를 파악하여 고당지수 음식을 저당지수 음식으로 대체하면 되는 것이다.
여러가지 음식을 섭취할 때 무조건 고GI를 피할 필요는 없다. 저GI 음식 한 두개만 포함시키면 된다.
당지수표
두류/해주류 |
설탕/과자/음료 |
곡류/빵/면 |
과일 |
||||
채에 거른 팥소 |
80 |
맥아당 |
105 |
식빵 |
91 |
딸기쨈 |
82 |
우유/유제품/알 |
육류/어패류 |
야채/근채류 |
야채/근채류 |
||||
연유(가당) |
82 |
베이컨 |
49 40 |
감자 |
90 |
죽순 |
26 |
조미료 |
|||||||
후추 |
73 |
||||||
육류/어패류 |
|||||||
구운어묵 |
55 |
참고로 당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겠다. 식품별 당지수를 모르더라도 알고 있으면 생활속에서 이왕이면 당지수가 낮은 음식을 선택할 때 도움이 된다.
1.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당지수가 높다.
곡류를 정제하면 입자가 작아지고 물의 흡수와 효소의 공격이 쉬어진다. 따라서 정제된 가루로 만들어진 곡물의 당지수가 높은 것이다. 19세기 쇠로 만든 제분기가 개발되고, 현대의 발달된 제분기술로 현대인들인 19세기 전에 비해 당지수 높은 곡류를 섭취하게 된 것이다.
2. 신맛나는 음식이 당지수가 낮다.
식품의 산도는 위장관 배출을 중지시키고 소장으로 음식을 천천히 전달하게 한다. 과일중에서 포도는 GI가 25인데 반해 수박은 72이다. 과일의 산도가 높을수록 당지수가 낮다는 것이다.
연구에 의하면 샐러드 드레싱에 들어가는 식초나 레모즙이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빵도 신맛나는 빵이 당지수가 일반빵보다 낮습니다. 그렇다고 쉰 빵을 먹으라는 얘기는 아니구요 ^^
3. 식이섬소유가 포함된 곡물이 당지수가 낮다.
식이섬유소는 인간의 몸에서 소화되지 않는 탄수화물의 형태이다. 따라서 혈당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식이섬유가 소화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면 당지수는 당연히 낮아지게 된다.
흰쌀밥보다는 현미밥이나 잡곡밥을 먹으라는 얘기죠.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F 사태와 금융시스템 문제 (0) | 2021.02.28 |
---|---|
신자유주의 세계화 (0) | 2021.02.28 |
사포닌 (진세노사이드) (0) | 2021.02.23 |
코코넛 오일(coconut oil)의 효과 (0) | 2021.02.23 |
배우 차청화 나이 집 위치 남편 결혼 여부 철인황후 최상궁 온앤오프에서 반전 일상 보여주다? (0) | 2021.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