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포닌이란 그리스어로 "거품이 일다"라는 의미로 비누(soap)의 어원이기도 하며,사포닌 성분은 물에 녹으면 거품을 일으키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인삼에는 인삼특유의 성분인 인삼사포닌(ginsenoside)과 타 식물에도 존재하는 폴리아세틸렌, 핵산염기배당체, 알카로이드, 페놀성 화합물, 다당체, 단백질 및 아미노산, 향기 성분등이 존재한다.
이중 사포닌은 3~6% 정도이고, 질소화합물이 12~16%, 지용성 성분이 1~2%, 탄수화물이 60~70%를 차지한다.
인삼사포닌은 트리테르페노이드 계열의 담마란 골격에 글루코오스, 아라비노오스, 크실로오스 및 람노오스 등이 결합한 비스데스모사이드의 중성 배당체임이 밝혀졌으며, 이들을 TLC(박층 크로마토 그래피)에서 극성의 순서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RX라 명명하게 되었다.
사포닌은 인삼 외에도 자연계의 동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어서 감초, 도라지, 더덕, 콩등 여러 식물과 해삼, 불가사리에도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포닌을 다량으로 사용하면 혈구를 녹이는 용혈작용 등의 독성이 있는데 반해, 인삼의 사포닌은 용혈작용 등의 독성이 없고, 많은 용량을 장시간 섭취해도 부작용을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인삼 사포닌이 부작용이 없이 다양한 약리효과를 보여주는 것은 일반 동.식물 사포닌의 구조와 화학구조와는 다른 트리테르페노이드의 담마란 골격을 가진 배당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삼 사포닌을 다른 식물계 사포닌 성분들과 구분하기 위하여 인삼과 배당체의 복합어인 "진세노사이드" 라고 명명하였다.
인삼의 다른 성분들도 인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특히 인삼속에 속한 사포닌 성분들이 특별한 약리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인삼의 지표성분으로 활용되고 있다.
인삼 사포닌은 성분별 기본 구조에 따라서 디올계, 트리올계, 올레아닌계등으로 나누어진다. 디올계에는 Rb1등 22종류, 트리올계에는 Rg1등 14종류, 올레아닌계 1종류 등이 알려져있다. 하지만 책의 종류에 따라서 사포닌의 종류는 31종, 34종, 37종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므로 정확한 수치는 중요하지 않는다.
결국 인삼에는 특이한 약효성분을 나타내는 사포닌이라는 성분이 존재하고, 인삼을 가공한 홍삼에도 사포닌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사포닌 성분을 지표성분으로 하여, 사포닌 성분이 많을수록 우수한 제품으로 판단된다.
최근 홍삼에는 인삼에는 없는 사포닌 성분이 몇가지 더 검출되어, 인삼을 가공한 상태인 홍삼이 좀더 우수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좀더 주의해서 생각해 보아야 한다.
실험 결과 인삼과 홍삼의 사포닌 함량은 인삼이 홍삼에 비해 2~3배이상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홍삼의 고유 사포닌으로 알려진 Rg3 역시 인삼을 끓여서 복용하면 홍삼과 비슷하거나 더 많은 양이 검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더 많은 양의 사포닌과 더 다양한 사포닌을 섭취하려면 인삼을 끓여서 복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복용법인것을 알수 있다.
인삼 사포닌의 약리작용은
1. Rb1: 중추 신경 억제 및 정신 안정, 진통, 항경련, 부신피질자극호르몬과 코티코스테론 분비 촉진, 콜레스테롤 생합성 촉진, 기억력 개선, 간 보호, 아세틸콜린 방출 촉진, 혈관 확장, 혈소판 응집 억제, 지질과산화 억제, 탐식기능 활성화, 신장 사구체 비대 억제
2. Rb2: 당 및 지방대사 촉진, 항당뇨 작용, 질소 대사 평형 유지, 단백질 및 지질 합성 촉진, 고콜레스테롤저하 및 항동맥경화, 암 독소 호르몬의 길항작용, 평활근세포 증식 억제,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및 코티코스테론분비촉진, 스트레스성 식욕감퇴 개선, 종양혈관 신생억제, 항산화 활성물질 생성 촉진, 면역 조절, 혈소판 응집억제, 진통작용
3. Rc: 간, 혈청 콜레스테롤 합성촉진, 골수세포 단백질 및 지질합성 촉진, 진통 작용, 코티코스테론 분비 촉진, 프로스타사이클린 생합성 촉진, 신장 사구체 비대 억제
4. Rd: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및 코티코스테론 분비 촉진, 신장사구체 비대 억제
5. Re: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및 코티코스테론 분비촉진, 진통, 혈관 확장, 항 고온 스트레스, 평활근 세포증식 억제, 골수 세포 단백질 및 지질 합성 촉진, 간상해 보호, 콜레스테롤 대사 촉진
6. Rg1: 면역기능 증강, 혈소판 응집억제, 기억 및 학습기능 증진, 항피로, 항스트레스, 중추신경 흥분, 혈관 환장, 항염증, 항신염 및 신혈류량 증대작용, 고온환경 및 내인성 발열물질 등 유해자극 방어작용, 신경세포 생존율 촉진, 간세포증식,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분비 촉진, 콜레스테롤 대사촉진, 간장해 보호작용
7. Rh1: 실험적 간상해 억제 작용, 종양세포 분화촉진, 혈소판 응집 억제, 알러지 억제
8. Rh2: 암세포 증식 억제, 암세포 재분화유도촉진, 암세포 침윤억제, 종양증식 억제작용, 항암제의 항암활성 증대작용, 알러지 억제
9. Rg3: 암세포 전이억제, 항암제 내성억제
Rb계 사포닌은 중추신경 억제작용을 하고 말초 혈관에 대해서는 강한 확장 작용을 가지며, Rg계는 중추신경에 대해 흥분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은 이처럼 서로 상반된 성질을 고루 가지고 있어 신체의 균형을 맞추어주는 것을 알수 있으며, 이는 다른 약물과 달리 인삼의 큰 특징이 항상성을 회복시키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자유주의 세계화 (0) | 2021.02.28 |
---|---|
혈당 지수표 (0) | 2021.02.23 |
코코넛 오일(coconut oil)의 효과 (0) | 2021.02.23 |
배우 차청화 나이 집 위치 남편 결혼 여부 철인황후 최상궁 온앤오프에서 반전 일상 보여주다? (0) | 2021.02.17 |
온앤오프2 가수 초아 나이 차 자동차 가격 집 아파트 위치 본명 3년 공백기 깨고 근황 공개 주식에 빠지다? (0) | 2021.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