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사태와 더불어 최근 우리나라 경제 속에 또 하나 눈에 띄는 사건은 소버린' 이라는 외국 자산운용회사가 우리 나라 대기업인 SK의 지분을 대량 인수하여 경영권을 위협하는 문제이다. 이에 유수한 시민단체인 참여연대 가 SK 이 트명하지 못한 경영과 소액주주들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재벌기업들을 개혁한다는 의미에서 소버린의 입장 을 지지하고 나섰다.
이들은 이 기업의 투명성을 높여 미래적인 기업 가치를 키우고 소액주주들의 권익을 위해서 현 재의 경영진보다 외국 기업이 직접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더 낫다고 주장하면서 경영권을 외국인 투자기관에 넘 기는데 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초국적 자본_trans-nationnal을 운용하는 외국 기업과 국내 시민단체가 힘을 합치 는 사태의 의미는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까? 이것은 신자유주의 세계화와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이와 같은 현상을 조그만 자세히 살펴보면 우리 주위에는 이미 많은 부분이 세계화된 글로벌 기업과 자본들의 활동으로 넘쳐나고 있 다. 이와 같은 환경의 변화는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신자유주의와 세계화의 의미
신자유주의는 역사적으로 1930년대 대공황 이전의 고전적' 자유주의, 이 대공황 이후 케인즈주의 적인 근대적 자유주의에 뒤이어 70, 80년대 장기 불황 속에서 태어난 새로운 형태의 현대적 자유주의라고 할 수 있다. 이 세가지 형태의 자유주의는 자본주의와 시장경제의 원리를 추종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 나 각각의 변화된 시대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났다. 고전적 자유주의는 17~18세기의 계몽사상에 의한 정치적 자유주의로부터 연루되어 자본축적에 대한 전근대적인 규제와 제한을 철폐하고 경제 는 자유 시장의 힘에 맡기고 국가는 최소한의 시장의 작동을 보호하는 의미에서 그 개입이 최소화되어야 한다는 고전 경제학의 원리를 관철 한 것이었다. 반면 케인즈주의 자유주의는 1930년의 대공황으로 인하여 붕괴된 고전이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복막 평활근육종( leiomyosarcoma) 중기 (0) | 2021.02.28 |
---|---|
후복막 평활근육종( leiomyosarcoma) 전기 (0) | 2021.02.28 |
IMF 사태와 금융시스템 문제 (0) | 2021.02.28 |
신자유주의 세계화 (0) | 2021.02.28 |
혈당 지수표 (0) | 2021.02.23 |